텍스트큐브의 블로그가 구글(Google)의 블로그 서비스인 블로거(Blogger : http://www.blogspot.com)로 통합되었다.
구글에서 텍스트큐브를 흡수하면서 한국형 텍스트큐브 블로그의 다양한 기능도 많이 받아들였다. 아직까지 다양한 국내의 여러 블로그의 서비스에 비해 익숙하지 않은 환경이지만 꽤 쓸만한 서비스이다.
처음 블로거서비스를 쓰기 시작하면서 게시된 글을 분류(Category)해서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많이 고민을 해봤지만 왠지 쉽게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런데 갑자기 눈에 들어왔다. 오늘~!
불필요한 비용(시간낭비)을 줄이기 위해 ‘구글의 블로거(Blogger.com)에서 카테고리 만들기’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단, 블로그는 이미 생성해 두었다고 생각한다.(뭐, 조금만 신경 쓰면 쉽게 만들 수 있으니까…)
1.카테고리(Category, 분류)는 이미 게시되어 있는 게시물을 분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기능을 추가하기 전에 추가하려고 하는 분류항목에 해당하는 글을 작성한다. 이때 글쓰기 창에서 “라벨” 항목에 반드시 분류항목을 입력한다.
가. 표시 하고자 하는 분류항목을 제일 앞에 그 뒤에 더 추가하고 싶은 라벨(태크)를 입력한다.
나. “모두 표시”를 클릭하면 이미 다른 글을 작성할 때 사용했던 라벨(태그 또는 카테고리)에서 필요한 것을 간단하게 골라서 입력할 수 있다.
2.블로거(Blogger)의 [대시보드]에서 “꾸미기”를 선택한다.
3.[페이지 구성요소 추가 및 정렬] 화면에서 “가젯 추가”를 클릭한다.
4.[가젯 추가] 화면에서 “태그”를 클릭한다.
5.[라벨 가젯 구성]화면에서 블로그의 화면 표시될 “제목”을 입력하고, “표시”항목에서 “O 선택한 라벨”을 선택한다.
6.새롭게 나타나는 문구(선택한 라벨 : ??개 중 ??개 수정) 중 “수정”을 클릭한다.
7.[표시할 라벨 선택]창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분류항목을 선택하고 [완료] 단추를 클릭한다.
8.[저장]을 눌러 분류(Category)표시를 위한 가젯 추가 작업 저장한다.
9.3번째 항목의 [페이지 구성요소 추가 및 정렬] 화면에서 “저장” 단추를 클릭해서 변경사항을 블로그에 반영한다.
10.대시보드의 “내 블로그 보기”를 클릭해서 추가된 분류(Category)의 모습을 확인한다.
'편하게 잘쓰기 >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문서를 [직장 - 클라우드 서버 - 집]에서 동일하게 사용해보자.(다음클라우드 활용) (0) | 2011.12.30 |
---|---|
페이스북 알림 메일 줄이기 (0) | 2011.12.30 |
서로 다른 장소의 컴퓨터 데이터 씽크하기(Daum 클라우드 이용) (0) | 2011.05.30 |
FaceBook에서 스팸성 앱(App) 제거하기 (0) | 2011.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