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에 구글 캘린더 더 추가하기
아직 01X번호를 사용하고 있으면서, 꼭 필요한 일이 생겨 3년 후 010번호로 바꾸겠다는 서명을 하고 아이폰4를 개통했다. 언제나처럼 거의 1주일 넘게 열심히 연구를 해야 했다.
지금 설명하려고 하는 내용과는 조금 거리가 멀지만, 스마트폰에 책정된 요금제는 정말 합리적이지 않다. 3개월 정도 사용하고 있는 지금, 한 번도 요금제에 따라 주어지는 전화, SMS, 데이타를 사용해 본 적이 없다. 주어진 만큼을 모두 사용해야겠다는 아까운 마음에 꼭 필요하지 않지만 전화도 걸고, 메세지도 보내고, 인터넷 검색도 해보지만 꼭 필요한 일이 아니므로 곧 그만 두고 말았다.
전기가 부족해서 원자력발전소를 지었더니, 이번에는 전기가 모자라게 될 지경으로 전기를 낭비하고 있단다. 마찬가지로 요즘 모든 통신사가 데이타 유통량이 기본적으로 주어진 데이타를 이용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인터넷 전화, 메세지 등)에 대해 제한을 걸거나, 유료화 하려고 하고 있는데, 이는 근본을 애써 외면하면서 자신들의 수익만을 추구하는 몰상식한 행태가 아닐 수 없다.
사용자들이 자신의 서비스의 사용패턴에 따라 자유롭게 요금제를 설계할 수 있게 하면, 지금의 무분별한 데이타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통화품질 저하와 같은 문제를 자연스럽게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에이~ 그만~!
=+=+=+=+=+=+=+=+=+=+=+=+=+=+=+=+=+=+=+=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가장 편리하게 사용하던 서비스가 [일정과 메일 관리] 였는데, 아이폰에서는 훨씬 훌륭한 일정관리와 메일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Google의 메일과 캘린더 서비스를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는데 아이폰에 손쉽게 동기화(Sync)할 수 있었다.
기본 계정 추가는 아래의 블로그에 잘 설명되어 있다.
[아이폰4 이메일 계정 설정하기 - http://snoopybox.co.kr/1406]
그런데 Google 캘린더에서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캘린더를 만들고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데, 이런 기본 캘린터 외의 다른 캘린더를 아이폰에 더 추가할 수 있었다.
아래에 그림과 함께 설명하니 차근차근 따라해보자.
[사전 준비 사항]
1.아이폰 (iOS 4.0 이상)
2.Google 캘린더에 로그인
[작업 순서]
1. 구글 캘린더 화면에서 왼쪽의 [설정]을 클릭한다.
3. 설정 화면의 가운 부분에 있는 캘린더 주소(캘린더 ID) 부분을 기록해 놓는다.
- 이 캘린더 ID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암호화 되기 때문에 따로 적어 두었다가 수동으로 입력하기에 매우 불편하다. 캘린더 ID를 복사해서 아이폰에서 열어 볼 수 있는 메일 계정으로 메일을 보내 놓고, 아이폰에서 복사해서 붙여 넣는 것이 편리하다.
4. 아이폰에서 [설정]아이콘을 선택해서 설정화면으로 들어간다.
5. [Mail, 연락처, 캘린더] 메뉴를 선택한다.
6. [계정 추가…] 메뉴를 선택한다.
7. 제일 아래에 있는 [기타] 메뉴를 선택한다.
8. 캘린더 항목의 [CalDAV 계정 추가] 메뉴를 선택한다.
9. 서버, 사용자 이름, 암호에 구글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 설명 항목에는 추가하려고 하는 캘린더를 구분할 수 있는 설명 문구를 입력한다.
10. 구글계정 정보를 입력했으면 [다음] 단추를 선택한다.
11. 계정 선택화면에서 위에서 입력한 캘린더 계정(구글 2번째 일정)을 선택한다.
12. [고급 설정] 메뉴를 선택한다.
13. [계정 URL]에 앞의 3번에서 복사해둔 캘린더 ID를 아래의 형식에 맞춰 붙여 넣는다.
https://www.google.com/calendar/dev/[캘린더 ID]/user
14. < 구글 2번째 일정]을 선택해서 앞 화면(12번)으로 이동한 뒤에 [완료] 단추를 선택한다.
캘린더를 실행해서 선택한 캘린더의 내용이 제대로 나타나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자.
아이폰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캘린더는 한 눈에 일정을 확인하는데 다소 불편하다.
아래 화면과 같이 안드로이드 폰에서와 같은 스타일로 일정을 관리할 수 있는 “SaiSuke”이라는 일정관리 어플이 있으므로 사용해보는 것도 좋겠다. 어플에 대한 소개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자.